상품명 | 무배당 하나뿐인 변액연금보험 |
---|---|
상품유형 | 적립형, 거치형 |
구분 | 적립형 | 거치형 | |
---|---|---|---|
납입기간 | 5/7/10/12/15/20년납 | 일시납 | |
납입주기 | 월납 | 일시납 | |
보험 기간 |
연금개시전 | 보험계약일부터 연금개시나이 계약해당일 전일까지 | |
연금개시후 | 연금개시나이 계약해당일부터 종신까지 | ||
연금개시나이 | 30세~85세 | ||
가입나이 | 0세 ~ (연금개시나이-납입기간-최소거치기간)세 (최대 71세) |
0세 ~ (연금개시나이-최소거치기간)세 (최대 80세) |
|
최소거치기간 | 5년납: 10년/ 7년납: 7년/ 10년납 이상: 5년 | 5년 |
기본보험료 | 적립형 | 월납 20만원 이상(단, 5,7년납은 30만원 이상) (1구좌: 20만원 이상 1천만원 이하) |
---|---|---|
거치형 | 일시납 1천만원 이상 (1구좌: 1천만원 이상 1억원 이하) | |
추가납입보험료 | 적립형 | 연금개시전 보험기간 중 기본보험료 납입주기와 달리 수시로 납입할 수 있는 보험료 (납입기간 중에는 해당월의 기본보험료가 납입된 경우에 한하여 추가납입보험료 납입가능) <1회 납입 가능한 추가납입보험료 한도> = 해당월까지 납입한 기본보험료 총액(선납포함)의 200% - 이미 납입한 추가납입보험료의 합계 + 계약자적립액의 인출금액(자동인출금액 포함)의 합계 |
거치형 | 연금개시전 보험기간 중 수시로 납입할 수 있는 보험료 <추가납입보험료 총 한도> = 기본보험료의 200% + 계약자적립액의 인출금액(자동인출금액 포함)의 합계 |
※ 추가납입 사업비: 없음
※ 연금개시후 보험기간에는 추가납입보험료를 납입할 수 없습니다.
가능시기 | 계약일로부터 1개월 이후 |
---|---|
최소잔여계약자적립액 | - 적립형: 기본보험료의 600%와 300만원 중 큰 금액 이상 - 거치형: 기본보험료의 3%와 200만원 중 큰 금액 이상 |
1회한도 | 해약환급금(보험계약대출의 원금과 이자를 차감한 금액)의 50% 이내 |
인출횟수 | 연 12회 |
수수료 | 없음 |
※ 계약자적립액의 인출시 계약자적립액이 감소할 수 있습니다.
※ 계약일로부터 10년이내에 총 인출금액이 실제 납입한 보험료를 초과하는 경우 인출할 수 없습니다.
※ 평균분할투자기간 및 연금개시후 보험기간에는 계약자적립액을 인출할 수 없습니다.
납입이 완료된 유효한 계약에 한하여 납입기간 이후 '연금개시나이 계약해당일 1개월 이전'까지 노후자금 인출을 신청할 수 있으며, 계약자가 연금개시시점 계약자적립액의 0%~30% 이내에서 선택한 비율에 해당하는 금액을 일시금으로 지급합니다.
계약자는 보험기간 중 목표수익률 채권형 펀드 자동변경을 신청할 수 있으며, 아래의 조건을 모두 만족한 경우 계약자적립액 전액을 MMF형펀드(다만, 폐지 등의 사유로 더 이상 운용이 불가능한 경우에는 가장 유사한 펀드)로 자동변경합니다.
목표수익률 채권형펀드 자동변경 조건 |
1) 계약일 이후 6개월 이상 경과된 계약 2) 계약자가 선택한 목표수익률에 도달한 계약 |
---|---|
목표수익률 |
105%~200% 중 1% 단위로 선택 (수익률 = 계약자적립액 ÷ 이미 납입한 보험료 × 100) |
신청시기 | 보험기간 중 (목표수익률 도달 전 목표수익률 변경, 신청취소 및 재신청 가능, 신청일의 다음 영업일부터 적용) |
채권형펀드 자동변경일 | 목표수익률 달성일 + 제2영업일 |
※ MMF형 펀드로 자동변경된 이후 납입되는 기본보험료 및 추가납입보험료는 MMF형 펀드로 전액투입되며, 이 상품에 포함된 다른 펀드(펀드운용 페이지 참고)로 이전 또는 펀드 투입비율 변경을 요청할 수 있습니다
※ 펀드자동재배분 신청시 또는 평균분할투자기간 중에는 목표수익률 채권형펀드 자동변경 신청이 제한됩니다.
추가납입보험료, 거치형의 기본보험료 및 거치형의 기본보험료 계약자적립액을 MMF형 펀드에 전액 투입한 후, 계약자가 선택한 평균분할투자기간 동안 가입시(또는 펀드 변경시) 정한 기본보험료 펀드별 투입비율에 따라 매월 분할 투입합니다.
매월 분할투입금액 | 매월 분할투입일 현재 평균분할투자대상 잔액 ÷ 평균분할투자 잔여기간 |
---|---|
평균분할투자 기간 | 3개월, 6개월, 12개월 중 선택 |
신청횟수 | 매년 4회 이내(평균분할투자기간 중 새로운 평균분할투자신청은 제한되며, 평균분할투자의 실행 취소 가능) |
※ 목표수익률 채권형펀드 자동변경 신청시 또는 펀드자동재배분 신청시 평균분할투자 신청이 제한됩니다
2개 이상의 펀드에 분산투자시, 투자성과에 따라 변동된 펀드별 계약자적립액을 계약체결시 또는 펀드 변경시 선택한 펀드투입비율에 따라 계약자가 선택한 단위(6개월, 12개월)로 자동재배분
※ 목표수익률 채권형펀드 자동변경 신청시 또는 평균분할투자기간 중에는 펀드자동재배분 신청이 제한됩니다. (펀드자동재배분 신청 취소 가능)
자동인출서비스 | 납입이 완료된 계약에 한하여 자동인출서비스기간 동안 자동인출금액 만큼 매월 지급일에 계약자적립액을 인출하여 자동적으로 지급받을 수 있는 서비스 |
||||
---|---|---|---|---|---|
자동인출서비스기간 | 연금개시전 보험기간 중 6개월 이상 | ||||
자동인출금액 |
매월 동일 금액으로 아래 한도내에서 인출 가능
|
||||
자동인출한도 |
해약환급금(보험계약대출의 원금과 이자를 차감한 금액)의 50% 이내 (계약자적립액의 인출금액에 포함) ※ 다만, 자동인출서비스는 계약자적립액의 인출 횟수(연12회)에 포함하지 않음 |
||||
수수료 | 없음 |
※ 계약일로부터 10년 이내에 총 인출금액이 실제 납입한 보험료를 초과하는 경우 인출할 수 없습니다.
※ 평균분할투자기간 및 연금개시후 보험기간에는 자동인출서비스를 신청할 수 없습니다.
구분 | 펀드명 | 운용전략 | |
---|---|---|---|
국내 | 주식형 | 국내주식형 | 국내 KOSPI200에 대한 투자 - 주식 비중 60%~100%이내 KOSPI200 지수의 수익률을 효율적으로 추종하는 것을 목표로 함. |
채권형 | 국내채권형 | 국내 채권에 대한 투자 - 채권비중 60% 이상 국내 채권 및 채권관련 수익증권에 주로 투자하여 국내 기준금리 이상의 수익률 달성을 추구. |
|
유동형 | MMF형 | MMF에 대한 투자 - 채권 및 유동자산 비중 100% 이내 채권과 양도성 예금증서(CD), 기업어음(CP), 콜론(Call-loan) 등 유동자산에 투자하여 안정적인 이자수익을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함. |
|
글로벌 | 주식 혼합형 |
AI글로벌주식혼합70형 | 인공지능(AI)을 활용한 글로벌 주식 및 채권에 대한 투자 - 주식비중 70% 이내, 채권비중 30% 이상 인공지능(AI)을 활용한 딥러닝(Deep Learning) 기술을 포트폴리오에 적용하여 지역별·상품별 투자 비중을 조정하여 투자수익을 추구. |
AI글로벌 All Weather형 | 인공지능(AI)을 활용한 글로벌 주식 및 채권, 대체투자 자산에 대한 투자 - 주식 및 채권, 대체투자 비중 100% 이내(자산배분 일임형) 인공지능(AI)을 활용한 딥러닝(Deep Learning) 기술을 포트폴리오에 적용하여 지역별,상품별 투자 비중을 조정하여 투자수익을 추구. |
||
글로벌자산배분형 | 글로벌 주식 및 대체투자 자산에 대한 투자 - 주식 및 대체자산 비중 100% 이내 (자산배분 일임형) 시장상황을 고려하여 지역별·상품별 투자비중을 조정하여 안정적인 수익을 추구하는 것을 목표로 함. |
||
주식형 | 글로벌Dynamix형 | 글로벌 주식 및 대체투자 자산에 대한 투자 - 주식 및 대체자산 비중 100% 이내 (자산배분 일임형) 시장상황을 고려하여 지역별·상품별 투자비중을 조정하여 안정적인 수익을 추구하는 것을 목표로 함. |
|
글로벌컨슈머형 | 글로벌 소비관련 업종과 기업에 대한 투자 - 주식 비중 60%~100% 이내 글로벌 소비관련 업종과 기업에 집중 투자하여 투자수익 추구를 목표로 함. |
||
글로벌4차산업성장형 | 글로벌 4차산업관련 업종 및 기업에 대한 투자 - 주식 비중 60%~100% 이내 글로벌 4차산업관련 업종 및 기업에 집중 투자하여 투자수익 추구를 목표로 함. |
||
중국주식형 | 중국 지역 및 소비재 등 섹터에 대한 투자 - 주식 비중 100% 이내 중국 다양한 지역(상해, 심천, 북경 등)과 소비재, 기술주 등 섹터에 분산투자. |
||
글로벌배당주식형 | 글로벌 배당기업에 투자 - 주식비중 100% 이내 시장 평균 이상의 배당수익을 제공할 것으로 판단되는 기업에 투자하여 높은 배당수익을 추구. |
||
AI미국주식형 | 인공지능(AI)을 활용한 미국 주식에 대한 투자 - 주식 비중 100% 이내 인공지능(AI)을 활용한 딥러닝(Deep Learning) 기술을 포트폴리오에 적용하여 미국 주식의 투자 비중을 조정하여 투자수익을 추구. |
||
AI글로벌주식형 | 인공지능(AI)을 활용한 글로벌 주식에 대한 투자 - 주식 비중 100% 이내 인공지능(AI)을 활용한 딥러닝(Deep Learning) 기술을 포트폴리오에 적용하여 지역별 투자 비중을 조정하여 투자수익을 추구하는 것을 목표로 함. |
||
AI글로벌TOP3섹터주식형 | 인공지능(AI)을 활용한 글로벌 상위 섹터 3개에 대한 투자 - 주식비중 100% 이내 인공지능(AI)을 활용한 딥러닝(Deep Learning) 기술을 포트폴리오에 적용하여 섹터별 투자 비중을 조정하여 높은 투자수익 추구. |
||
글로벌ESG주식형 | 글로벌 ESG주식에 대한 투자 - 주식비중 100% 이내 환경, 사회, 지배구조 관련 업종 및 기업에 집중투자하여 높은 투자수익 추구. |
||
미국그로스주식형 | 미국 우량 대기업 주식에 대한 투자 - 주식비중 100% 이내 높은 이익성장을 달성할 것으로 예상되는 미국의 우량 대기업의 주식에 집중 투자하여 투자수익 추구. |
||
글로벌TECH주식형 | 글로벌 기술관련 주식에 대한 투자 - 주식비중 100% 이내 글로벌 기술개발 및 관련 서비스 제공 기업과 소비재, 유통, 금융 등 기술 변화와 진화의 혜택을 받는 기업에 주로 투자. |
||
글로벌헬스사이언스주식형 | 글로벌 보건 및 의료기술 관련 주식에 대한 투자 - 주식비중 100% 이내 글로벌 보건, 의약품, 의료기술 및 부품, 생명공학 개발분야 관련 기업의 주식에 주로 투자. |
||
채권형 | 글로벌채권형 | 글로벌 채권에 대한 투자 - 채권 비중 60%~100%이내 전세계 채권섹터에 분산투자를 하여 장기적으로 안정적인 이자수익을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함. |
|
미국국채형 | 미국 국고 채권에 대한 투자 - 채권비중 60% ~ 100% 이내 미국 국고 채권에 분산투자를 하여 장기적으로 미국 기준금리 이상의 수익률 달성을 목표로 함. |
||
AI미국채권형 | 인공지능(AI)을 활용한 미국 채권에 대한 투자 - 채권비중 60% ~ 100% 이내 인공지능(AI)을 활용한 딥러닝(Deep Learning) 기술을 포트폴리오에 적용하여 미국 채권의 투자 비중을 조정하여 투자수익을 추구. |
||
글로벌하이일드채권형 | 글로벌 하이일드 채권에 대한 투자 - 채권비중 60%~100% 이내 선진국 및 이머징 국가에서 발행하는 하이일드채권 등에 투자하여 높은 수익을 추구하는 것을 목표로 함. |
||
글로벌고수익채권형 | 글로벌 하이일드 채권에 대한 투자 - 채권비중 100% 이내 선진 및 신흥 시장 국가들이 발행한 하이일드 채권(채권에 관련된 수익증권(ETF포함))에 주로 투자. |
펀드명 | 특별계정운용보수 | 증권거래·기타비용 | 기초펀드보수비용 | 합계 |
---|---|---|---|---|
국내주식형 | 연 0.432% | 연 0.007% | 연 0.134% | 연 0.573% |
국내채권형 | 연 0.332% | 연 0.000% | 연 0.092% | 연 0.424% |
MMF형 | 연 0.142% | 연 0.000% | 연 0.097% | 연 0.239% |
AI글로벌주식혼합70형 | 연 1.032% | 연 0.253% | 연 0.084% | 연 1.369% |
AI글로벌All Weather형 | 연 0.932% | 연 0.103% | 연 0.110% | 연 1.145% |
글로벌자산배분형 | 연 1.032% | 연 0.103% | 연 0.110% | 연 1.245% |
글로벌Dynamix형 | 연 1.032% | 연 0.124% | 연 0.132% | 연 1.288% |
글로벌컨슈머형 | 연 0.732% | 연 0.113% | 연 0.086% | 연 0.931% |
글로벌4차산업성장형 | 연 0.732% | 연 0.114% | 연 0.086% | 연 0.932% |
중국주식형 | 연 1.032% | 연 0.191% | 연 0.472% | 연 1.695% |
글로벌배당주식형 | 연 0.732% | 연 0.124% | 연 0.226% | 연 1.082% |
AI미국주식형 | 연 0.932% | 연 0.085% | 연 0.690% | 연 1.707% |
AI글로벌주식형 | 연 1.032% | 연 0.350% | 연 0.081% | 연 1.463% |
AI글로벌TOP3섹터주식형 | 연 0.932% | 연 0.411% | 연 0.067% | 연 1.410% |
글로벌ESG주식형 | 연 0.632% | 연 0.094% | 연 0.740% | 연 1.466% |
미국그로스주식형 | 연 0.632% | 연 0.085% | 연 0.690% | 연 1.407% |
글로벌TECH주식형 | 연 0.632% | 연 0.085% | 연 1.040% | 연 1.757% |
글로벌헬스사이언스주식형 | 연 0.632% | 연 0.087% | 연 0.810% | 연 1.529% |
글로벌채권형 | 연 0.402% | 연 0.160% | 연 0.083% | 연 0.645% |
미국국채형 | 연 0.282% | 연 0.160% | 연 0.083% | 연 0.525% |
AI미국채권형 | 연 0.482% | 연 0.160% | 연 0.083% | 연 0.725% |
글로벌하이일드채권형 | 연 0.432% | 연 0.149% | 연 0.402% | 연 0.983% |
글로벌고수익채권형 | 연 0.432% | 연 0.085% | 연 0.930% | 연 1.447% |
펀드명 | 투자일임운용회사 |
---|---|
국내주식형, MMF형, 중국주식형, 글로벌배당주식형, 글로벌채권형, 글로벌컨슈머형, 글로벌4차산업성장형 | 삼성자산운용 |
글로벌자산배분형, 글로벌Dynamix형 | 삼성자산운용, 미래에셋자산운용 |
AI글로벌All Weather형, AI미국주식형, AI글로벌주식형, AI글로벌TOP3섹터주식형, 글로벌ESG주식형, 미국국채형, AI미국채권형, 글로벌하이일드채권형 |
하나자산운용 |
미국그로스주식형, 글로벌TECH주식형, 글로벌헬스사이언스주식형, 글로벌고수익채권형 | 우리자산운용 |
국내채권형 | 미래에셋자산운용 |
AI글로벌주식혼합70형 | 하나자산운용, 미래에셋자산운용 |
펀드선택 | 5% 단위 선택 |
---|---|
채권형펀드 최소투입비율 |
50% 이상 (MMF형, 국내채권형, 글로벌채권형, 미국국채형, AI미국채권형 펀드투입비율합계) ✽ 단, AI글로벌주식혼합70형 펀드 100%선택시 최소투입비율 미적용 |
펀드변경(계약자적립액 이전) 및 펀드투입비율 변경 |
연 12회 이내에서 변경 가능(수수료 없음) ✽ 단, 계약자적립액 대비 채권형 펀드의 계약자적립액 비율이 최소투입비율 이상이어야 함 ✽ AI글로벌주식혼합70형 펀드를 100% 선택시 최소투입비율 미적용 ✽ 평균분할투자 기간에는 펀드변경 신청 불가 |
기준: 남자 40세, 10년납, 월납 30만원, 65세 연금개시, 보증이율 연단리 7%(연복리 4.43%) 세전 (단위:원)
구분 | 투자수익률-1.00% (순수익률 연-4.00%) |
투자수익률 2.75% (순수익률 연-0.25%) |
투자수익률 연 4.125% (순수익률 연 1.125%) |
---|---|---|---|
연금개시시점의 계약자적립액 | 14,347,222 | 30,350,190 | 39,739,039 |
연금기준금액 | 86,505,000 | 86,505,000 | 86,505,000 |
매월 연금액 | 392,876 | 392,876 | 392,876 |
기준: 남자 55세, 일시납 5,000만원, 60세 연금개시, 보증이율 연단리 4%(연복리 3.71%) 세전 (단위:원)
구분 | 투자수익률-1.00% (순수익률 연-4.00%) |
투자수익률 2.75% (순수익률 연-0.25%) |
투자수익률 연 4.125% (순수익률 연 1.125%) |
---|---|---|---|
연금개시시점의 계약자적립액 | 39,033,361 | 47,123,696 | 50,403,323 |
연금기준금액 | 60,000,000 | 60,000,000 | 60,000,000 |
매월 연금액 | 250,000 | 250,000 | 250,000 |
보험료에서 계약체결비용 및 계약관리비용 등을 차감하고 특별계정의 투자수익률을 적용하여 보험료 및 해약환급금 산출방법서에
따라 연금개시시점까지 계산한 금액을 말합니다.
(계약자적립액의 중도인출이 없는 것으로 가정합니다)
연금개시시점의 최저연금기준금액과 계약자적립액 중 큰 금액
기준 기본보험료 및 기준 추가납입보험료를 납입시점(기본보험료를 선납한 경우에는 납입시점이 아닌 해당회차 월계약해당일)부터 보증이율을 적용하여 단리로 계산한 금액
연금기준금액 x 연금개시나이별 연금지급률/12
연금개시전 보험기간 |
5년이상 ~ 15년미만 |
15년이상 ~ 20년미만 |
20년이상 ~ 25년미만 |
25년 이상 |
---|---|---|---|---|
보증이율(연단리) | 4% | 5% | 6% | 7% |
연금개시전 보험기간 | 10년 | 15년 | 20년 | 25년 | |
---|---|---|---|---|---|
보증이율(연복리)** | 거치형 | 3.42% | 3.80% | 4.02% | 4.12% |
적립형 | - | 3.94% | 4.17% | 4.28% |
연금개시나이 | 연금지급률(연기준) |
---|---|
30세이상 40세미만 | 2.50% |
40세이상 50세미만 | 3.45% |
50세이상 55세미만 | 3.75% |
55세이상 60세미만 | 4.35% |
60세이상 65세미만 | 5.00% |
65세이상 70세미만 | 5.45% |
70세이상 75세미만 | 5.85% |
75세이상 | 6.00% |
기준: 남자 40세, 10년납, 월납 30만원, 연금개시 65세, 세전 (단위:천원)
경과기간 | 납입보험료 | 특별계정 투입금액누계 |
투자수익률 연 -1.00% 가정 (순수익률 -4.00%) |
투자수익률 연 2.75% 가정 (순수익률 -0.25%) |
투자수익률 연 4.125% 가정 (순수익률 1.125%) |
|||
---|---|---|---|---|---|---|---|---|
해약환급금 | 환급률 | 해약환급금 | 환급률 | 해약환급금 | 환급률 | |||
3개월 | 900 | 816 | 46 | 5.11% | 51 | 5.67% | 53 | 5.89% |
6개월 | 1,800 | 1,632 | 879 | 48.83% | 897 | 49.83% | 903 | 50.17% |
9개월 | 2,700 | 2,449 | 1,704 | 63.11% | 1,742 | 64.52% | 1,756 | 65.04% |
1년 | 3,600 | 3,265 | 2,522 | 70.06% | 2,587 | 71.86% | 2,610 | 72.50% |
2년 | 7,200 | 6,531 | 5,713 | 79.35% | 5,960 | 82.78% | 6,051 | 84.04% |
3년 | 10,800 | 9,797 | 8,784 | 81.33% | 9,323 | 86.32% | 9,526 | 88.20% |
4년 | 14,400 | 13,063 | 11,738 | 81.51% | 12,677 | 88.03% | 13,036 | 90.53% |
5년 | 18,000 | 16,329 | 14,581 | 81.01% | 16,022 | 89.01% | 16,582 | 92.12% |
6년 | 21,600 | 19,594 | 17,317 | 80.17% | 19,357 | 89.62% | 20,163 | 93.35% |
7년 | 25,200 | 22,860 | 19,949 | 79.16% | 22,683 | 90.01% | 23,781 | 94.37% |
8년 | 28,800 | 26,126 | 22,369 | 77.67% | 25,886 | 89.88% | 27,322 | 94.87% |
9년 | 32,400 | 29,392 | 24,694 | 76.22% | 29,079 | 89.75% | 30,900 | 95.37% |
10년 | 36,000 | 32,658 | 26,928 | 74.80% | 32,264 | 89.62% | 34,515 | 95.88% |
15년 | 36,000 | 32,476 | 21,872 | 60.76% | 31,617 | 87.83% | 36,167 | 100.46% |
20년 | 36,000 | 32,294 | 17,734 | 49.26% | 30,980 | 86.06% | 37,907 | 105.30% |
25년 | 36,000 | 32,110 | 14,347 | 39.85% | 30,350 | 84.31% | 39,739 | 110.39% |
기준: 남자 55세, 일시납 5,000만원, 연금개시 60세, 세전 (단위:천원)
경과기간 | 납입보험료 | 특별계정 투입금액누계 |
투자수익률 연 -1.00% 가정 (순수익률 -4.00%) |
투자수익률 연 2.75% 가정 (순수익률 -0.25%) |
투자수익률 연 4.125% 가정 (순수익률 1.125%) |
|||
---|---|---|---|---|---|---|---|---|
해약환급금 | 환급률 | 해약환급금 | 환급률 | 해약환급금 | 환급률 | |||
3개월 | 50,000 | 49,212 | 48,843 | 97.69% | 49,299 | 98.60% | 49,464 | 98.93% |
6개월 | 50,000 | 49,032 | 48,176 | 96.35% | 49,083 | 98.17% | 49,411 | 98.82% |
9개월 | 50,000 | 48,852 | 47,517 | 95.03% | 48,867 | 97.73% | 49,359 | 98.72% |
1년 | 50,000 | 48,672 | 46,863 | 93.73% | 48,651 | 97.30% | 49,306 | 98.61% |
2년 | 50,000 | 48,334 | 44,692 | 89.38% | 48,172 | 96.34% | 49,480 | 98.96% |
3년 | 50,000 | 48,123 | 42,730 | 85.46% | 47,821 | 95.64% | 49,784 | 99.57% |
4년 | 50,000 | 47,913 | 40,844 | 81.69% | 47,472 | 94.94% | 50,092 | 100.18% |
5년 | 50,000 | 47,703 | 39,033 | 78.07% | 47,123 | 94.25% | 50,403 | 100.8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