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eader

가입절차

고객의 다양한 펀드선택 가능

  • 다양한 연금설계 능력
  • 원리금보장 자산운용능력 탁월
  • 퇴직연금, 이제는 하나생명보험에서 시작하세요.

도입프로세스

도입프로세스 월별 내용
구분 D-3월 D-2월 D-1월 D월
FLOW 제도내용 확정 규약신고 및 제도 준비 퇴직연금제도 개시
기업 퇴직급여제도 검토
퇴직연금제도 검토
퇴직연금규약(안) 작성 규약신고 확인 초회 부담금 납입
(퇴직보험 전환금액 납입)
퇴직연금 사업자
(금융기관) 선정
퇴직연금규약 작성
가입자 데이터 작성
퇴직연금 설명회 참석
운용지시서 제출
(DB형)
종업원 노사합의 규약 동의 및
퇴직연금 설명회 참석
운용지시서 제출
(DC형)
하나생명보험 퇴직급여제도 컨설팅
퇴직연금제도 설계
(부담금수준,
경리효과 장기예측 등)
퇴직연금
표준규약(안)제시
퇴직연금규약신고대행
- 지방노동관서
퇴직연금설명회 실시
투자교육 운용관리 및 자산관리

도입형태

현행 퇴직금제도 : 사내충당금(약40%) 퇴직보험,퇴직신탁(약60%) / 퇴직연금 도입형태 : 1. DB형 100% 중 DB형 60%, 사내충당 40% ,2. DC형 100% 중 DC형 60%, 사내충당 40%,3. DB형(기존사원) DC형(신입사원)  DB형, DC형, 사내충당

계약체결

기업은 근로자와 합의한 퇴직연금규약에 따라 퇴직연금제도의 도입을 결정하고 퇴직연금사업자와 운용관리 계약 및 자산관리 계약을 체결
계약체결 프로세스  그림-기업은 퇴직연금 운용관리기관과 운용관리계약체결하고 운용지시함 기업은 자산관리기관과 자산관리 계약체결함 . 운용관리기관은 상품 포트폴리오 MIX제공 및 제도 운용관리, 운용결과기록 관리/통지,투자상품제공,기록관리,투자교육을 함 . 자산관리기관에서 운용관리기관에 운용결과통보, 운용관리기관은 자산관리기관에 운용지시전달함. 운용관리기관에서는 기업에 상품제시, 운용결과통지함

자산운용개요

기업은 근로자와 합의한 퇴직연금규약에 따라 퇴직연금제도의 도입을 결정하고 퇴직연금사업자와 운용관리 계약 및 자산관리 계약을 체결함
퇴직연금 자산운용개요는 다음과 같음 : 기업 고유의 투자정책, 개인의 위험허용치 기대수익률에 따른 기업 또는 개인의 운용지시를 운용관리기관이 취합하여 자산관리기관 운용이행. 원리금보장형에는 금리연동형(ISP형), 확정금리형(GIC형) 실적배당형에는 채권형,혼합형,인덱스혼합형,인덱스성장형,주식성장형이 있음

도입시 고려사항

기업의 경우 기업의 자금력, 회사의 임금 및 승급체계, 직원들의 근속성향, 회사의 관리능력, 노조와의 관계 , 근로자의 경우 근무회사의 도산 가능성, 본인의 이직성향, 본인의 Risk Taking 수준, 근무회사의 구조조정 횟수

금융기관 선택시 고려사항

설계역량 : 고객의 목적에 합당한 제도를 설계할 수 있는 능력, 운용역량 : 장기∙안정적으로 퇴직적립금을 운용할 수 있는 능력, 서비스역량 : 제도에 필요한 제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능력
금융기관 선택시 고려사항
설계역량 기업별로 노사여건, 복리후생제도 재정상태등을 고려하여 기업과 근로자의 제도도입 목적에부합하는 제도 설계
퇴직금 진단후 대안도출, 현금흐름 부담금예상규모 산출
운용역량 적립금의 운용결과DB형은 기업의 부담금 DC형은 근로자의 노후자금에 영향 퇴직금 진단 후 대안도출, 현금흐름 부담금예상규모 산출
재직기간은 물론 은퇴 후 노후기간동안 연금을 관리, 지급할 수 있는 안정적인 회사
서비스역량 퇴직연금사업자로서 자료 · 정보요청 및 제출 근로자에 대한 퇴직연금 교육실시 기관보고 등 책무
고객의 입장에서 신속 정확하게 처리할 수 있는 업무지원시스템을 구비하고 있는 기관